인생을 살아가다 보면 위험은 항상 존재한다.
자동차를 운전하면서 "난 절대로 사고가 나지 않아" 라고 장담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어쩌다 한번 발생하는 위험으로 인해 손실이 심각하리라 예상되는 경우를 대비해 우리는 ‘위험의 이전’ 전략, 즉, 보편적인 방법인 ‘보험의 가입’을 통해 경제적인 손실에 대한 대비를 하고 있다.
우리 나라 국민 1인당 평균 보험 가입건수는 3.59건 (금융감독원 2016년 6월 기준)에 달한다. 필요에 의해 가입한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 친구, 선∙후배, 이모, 삼촌 등 지인의 부탁이나 권유, 방송이나 통신매체를 통한 충동구매, 금융기관 이용 시 사업의 원활한 금융업무를 위해 공공연히 행해지고 있는 꺾기 등 자의반 타의반 반강제적으로 가입한 경우도 의외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정작 필요한 순간에 내가 가입되어 있는 보험은 무엇인지? 현재 담당자가 누구인지? 보장내용은 어떻게 되는지? 보장내용이 겹치거나 부족한 부분은 없는지? … 당황해 했던 경우가 한번쯤은 있었을 것이다.
모집자의 권유나 부탁에 의해 하나 하나 보험을 가입하다보니 정작 나에게 필요한 보장보다는 모집자에게 필요한 보험을 가입한 경우도 적지 않다.
보험의 가입에는 정답이 없다. 많은 보험을 가입한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것도 아니며, 적은 보험을 가입했다고 무조건 나쁜것도 아니다.
보험디자인연구소 에서는 현장에서 10년간의 노하우를 통해 개발한 객관적인 분석툴을 통하여 나에게 어울리는 보험은 무엇인지 디자인하여 고객이 스스로 최적의 해답을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림으로써 고객의 삶의 질 향상과 나아가 건강한 금융환경 정립에 기여함을 사명으로 하고 있다.
2016.12 Insurance Design Lab